2026년 최저임금, 시간당 1만320원으로 결정
≡ 목차 안녕하세요. 2026년도 최저임금이 시간당 10,32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올해(2025년) 최저임금인 10,030원보다 290원(2.9%) 인상된 금액으로, 월 환산액(월 209시간 기준)은 215만6,880원입니다 이 결정은 2008년 이후 17년 만에 노사공(근로자·사용자·공익위원) 3자 합의의 의미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026년 최저임금, 17년 만에 노사공 합의로 결정구분2025년 최저임금2026년 최저임금전년 대비 인상률시간당 임금10,030원10,320원약 2.9%월 환산액 (주 40시간 기준)약 2,096,270원약 2,156,880원 (월 환산액은 주 40시간 근로 시 유급 주휴수당을 포함하여 계산한 금액입니다.)2026년 최저임금 결정 배경최저임금위원회는 2025년..
2025. 7. 11.
'무더위 쉼터' 가장 쉽고 빠르게 찾는 방법
≡ 목차 안녕하세요 여러분, 한여름의 무더위가 이어지면서 건강이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어르신, 어린이, 만성질환자 등 폭염에 취약한 분들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여, 이에 정부는 전국적으로 무더위쉼터 6만 8천여 곳을 마련해 9월 30일까지 운영하고 있습니다. 공공시설, 주민센터, 복지관, 은행, 마트 등을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외출 중 폭염으로 건강 이상을 느낀다면, 가까운 무더위쉼터를 쉽고 빠르게 찾는 방법을 소개 해 드릴게요.무더위쉼터, 이렇게 찾을 수 있어요국민재난안전포털에서 찾기국민재난안전포털 홈페이지에 접속한 뒤 ‘안전시설정보 > 무더위쉼터’ 선택을 하세요.‘생활밀착 민간시설’ 버튼을 누르면 은행 등 민간 쉼터도 확인할 수 있어 여러 공간을 찾는 데 유용합니다. 지역별로 검색이..
2025. 7. 11.
열대야를 슬기롭게 이겨내는 건강수칙
≡ 목차 열대야, 건강을 위협하는 불청객안녕하세요 여러분, 밤에도 끈적한 열기가 가시지 않는 여름철, 뒤척이기만 하고 잠 못 드는 날이 많으신가요? 밤 최저기온이 25도 이상으로 내려가지 않는 열대야 현상이 지속되면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피로 누적, 집중력 저하, 두통, 식욕부진 등이 나타 나는데요. 그중에서 불면증으로, 면역력이 저하되어, 기존에 앓고 있던 기저질환(고혈압, 당뇨 등)이 악화될 위험이 커지고, 심한 경우 심혈관계 질환 같은 합병증 발생 위험까지 높일 수 있답니다. 이 괴로운 열대야 밤을 건강하게 보내고 편안하게 잠들기 위해선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전문가들이 권장하는 열대야 극복을 위한 구체적인 건강 수칙들을 함께 알아보아요.열대야란 무엇인가요?여름철 밤에도 25도 이하로 기온이 내..
2025. 7. 10.
SK텔레콤 '위약금 면제', 앞으로 전망?
≡ 목차 안녕하세요. 최근 SK텔레콤이 지난 4월 발생한 해킹 사고 이후 지속되던 가입자 이탈이, 자사 가입자들의 통신사 이동(번호이동) 시 위약금을 면제하기로 하면서, 이동통신 시장이 크게 요동치고 있습니다. 위약금을 면제하기로 하면서, 요금 부담이 사라지자 대규모 이탈이 현실화됐고, 통신 3사 간 고객 유치 경쟁도 한층 치열해졌습니다.하루 1만7천여 명, SK텔레콤에서 이탈구체적인 번호이동 통계 분석기준일SK텔레콤 순감 가입자 수비고2025년 7월 7일10,660명위약금 면제 정책 영향 본격화2025년 7월 8일17,488명해킹 사고 이후 5월 3일 이래 최대 이탈 규모KT로 이동: 8,336명LG유플러스로 이동: 9,152명같은 날 통신 시장 전체의 번호이동 건수는 3만618건으로, 평소 1만 ..
2025. 7. 8.
7월, 식품·유통업계. 라면, 빵, 커피 최대 50% 할인
≡ 목차 안녕하세요 여러분, 올해 7월, 정부와 식품·유통업계가 손잡고 라면, 빵, 커피 등 주요 가공식품을 최대 50%까지 할인하는 대규모 행사를 진행합니다. 이번 할인은 여름철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덜기 위한 특별 조치로,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 전국 유통 매장에서 적용됩니다. 7월 한 달간 대규모 할인 행사를 진행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정부와 업계가 함께하는 7월 할인 대전 개요구분주요 내용주관대한민국 정부 (농림축산식품부)참여주요 식품 제조사 (라면, 제빵, 음료 등), 대형마트, 편의점 등 유통 채널대상 품목라면, 빵, 커피, 아이스크림, 주스, 삼계탕 등 여름철 수요 높은 가공식품 다수할인율일부 품목 최대 50%까지기간2024년 7월 한 달간 (한시적)목적소비자 먹거리 물가 부담 완화, ..
2025.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