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인터랙티브 전시와 디지털 키오스크 전시와 국내 전시들

by 청솔나무 2025. 3. 28.
반응형
펄스나인, 한라디지털아트뮤지엄서 '이터니티'

 

 

 

인터랙티브 전시의 특징

인터랙티브 전시는 방문객들이 단순히 전시물을 관람하는 것을 넘어 직접 참여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러한 전시는 방문객의 참여도를 60% 증가시키고 각 전시물에 머무는 시간을 평균 3분 더 늘리는 효과가 있습니다

 

<< 주목할 만한 인터랙티브 전시 사례로는 >>

  • 테라코타 전사 AR 경험(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증강현실을 통해 중국의 고대 테라코타 군대를 원래 색상과 전투 대형으로 볼 수 있습니다.
  •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작업실(시카고 과학산업박물관): 방문객들이 다빈치의 발명품을 직접 만들고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 지진 시뮬레이터(캘리포니아 과학아카데미): 샌프란시스코의 큰 지진을 체험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입니다

 

디지털 키오스크의 활용

 

  1. 정보 제공: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심지어 3D 모델까지 활용하여 전시물에 대한 더 깊은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2. 인터랙티브 맵: 방문객들이 박물관 내 전시물에 대해 더 알아보고 갤러리 주변 방향을 찾고, 방문을 계획할 수 있게 합니다.
  3. 가상 투어: 방문객들이 박물관의 다른 부분을 가상으로 둘러보거나 유명한 예술 작품을 재현하는 퍼즐을 맞출 수 있습니다.
  4. 증강현실 기능: 스마트폰이나 특별 기기를 사용하여 실제 전시물에 3D 모델이나 비디오와 같은 추가 콘텐츠를 볼 수 있습니다.
  5. 콘텐츠 관리 시스템: 과학박물관의 키오스크 시스템은 박물관 직원이 원격으로 콘텐츠를 관리하고 편집할 수 있게 해주며 약 20개의 키오스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합니다

 

다양한 적용 

  • 내러티브 역사 지도: 애니메이션 전환과 3D 애니메이션 루프를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키오스크 전시 
  • 인터랙티브 포토 부스: 아이들이 들어가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공간 
  • 맞춤형 아케이드 게임: 2인용 경쟁 아케이드 스타일의 카약 레이싱 게임 
  • 의학 식물 정원 가상 투어: 약용 정원의 인터랙티브 가상 투어 
  • 인터랙티브 벽: 여러 터치스크린 패널로 구성된 50피트 길이의 인터랙티브 설치물 
 
박물관과 과학관의 활용 사례

내러티브 역사 지도

뉴욕 내로스버그에 설치된 인터랙티브 키오스크 전시로 애니메이션 전환과 3D 애니메이션 루프를 특징으로 하는 역사 탐험 전시입니다

인터랙티브 포토 부스 

샌안토니오 어린이 병원에 설치된 인터랙티브 포토 부스로 아이들이 들어가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공간입니다

맞춤형 아케이드 게임

스웨인 카운티 헤리티지 박물관에 설치된 2인용 경쟁 아케이드 스타일의 카약 레이싱 게임입니다

의학 식물 정원 가상 투어

미네아폴리스의 배큰 박물관에 설치된 약용 정원의 인터랙티브 가상 투어입니다.

터치스크린 키오스크를 통해 방문객들이 정원을 가상으로 탐험할 수 있습니다

인터랙티브 벽

시카고 미국 작가 박물관에 설치된 50피트 길이의 인터랙티브 벽으로 여러 터치스크린 패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과학박물관 현미경 인터랙티브 시스템

영국 과학박물관의 의학 갤러리에는 방문객들이 조이스틱을 사용해 모터화된 스테이지를 움직이고 노브로 초점을 맞추며 터치스크린으로 배율, 조명 조건, 샘플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키오스크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살아있는 제브라피시 배아, 아메바, 마우스 배아 줄기세포 등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트랩 잇!(Trap it!) 시스템

스탠포드 대학의 리델-크루즈 바이오엔지니어링 연구소와 익스플로라토리움이 공동 개발한 시스템으로 방문객들이 터치스크린에 이미지를 그리면 이것이 유글레나(Euglena gracilis)라는 살아있는 미생물이 담긴 현미경 슬라이드에 투영됩니다. 광택성을 가진 이 미생물들은 인간 크기의 세계에서 투영된 이미지에 반응하고 이 모습이 다시 터치스크린으로 투영됩니다

스미소니언 자연사 박물관의 가상 발굴

워싱턴 D.C.의 스미소니언 국립 자연사 박물관은 방문객들이 가상으로 공룡 화석을 발굴할 수 있는 디지털 키오스크를 사용하여 정적인 전시를 넘어선 체험형 학습 경험을 제공합니다

기술적 특징과 장점

  1. 향상된 방문객 참여: 전통적인 정적 정보 패널보다 방문객의 관심을 더 효과적으로 끌어들이고, 더 몰입적이고 매력적인 방식으로 참여를 유도합니다.
  2. 개인화된 학습: 개인의 관심사와 학습 속도에 맞춰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방문객들은 가장 관심 있는 주제를 선택하고 추가 정보를 탐색하며 전시와 관련된 퀴즈나 게임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3. 다국어 지원: 전 세계에서 온 방문객들을 위해 다국어 지원을 제공하여 비원어민 화자도 정보에 접근하고 전시를 충분히 감상할 수 있도록 합니다.
  4. 접근성 향상: 오디오 가이드, 고대비 디스플레이, 조절 가능한 텍스트 크기와 같은 기능을 통해 다양한 필요를 가진 방문객들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5. 실시간 업데이트: 인쇄물과 달리 인터랙티브 키오스크의 디지털 콘텐츠는 쉽고 빠르게 업데이트할 수 있어 전시, 다가오는 이벤트 및 기타 관련 뉴스에 대한 최신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학습 스타일 지원

인터랙티브 키오스크는 다양한 학습 스타일과 요구에 맞춰 개인화된 학습 경험을 제공합니다.

시각적 학습자는 다이어그램과 비디오를 통해, 청각적 학습자는 오디오 자료를 통해 학습할 수 있습니다.

촉각적 학습자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통해 개념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학습 경험을 맞춤화할 수 있는 능력은 선호하는 학습 스타일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이 제공된 콘텐츠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실시간 피드백과 평가

교육용 키오스크는 과제, 퀴즈 또는 연습 문제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실시간 피드백은 학생들이 자신의 실수를 이해하고 신속하게 배울 수 있도록 돕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학생이 오류를 조정하고 수정하는 속도가 빠를수록 학습 곡선이 더 빠르게 향상됩니다.

박물관 환경에서의 개인화

방문객이 키오스크와 상호작용할 때 고대 역사, 현대 미술 또는 과학적 혁신과 같이 가장 관심 있는 주제나 테마를 선택하도록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면 키오스크는 이러한 관심사에 맞는 개인화된 투어, 비디오 또는 미디어를 큐레이션하거나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개인화는 박물관 경험을 각 방문객에게 더 의미 있게 만들어 참여도와 학습을 증가시킵니다.

방문객들은 정보를 더 잘 흡수하고 방문을 즐길 가능성이 높아져 더 충실하고 교육적인 경험으로 이어지며 참여도와 학습을 증가 시킵니다. 

 

 

국내에서 가장 인상 깊은 인터랙티브 전시 사례 

 

플라워 바이 네이키드 홍대 

해외에서 100만 명 이상이 관람하여 인기를 입증한 이 전시는 국내에서도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홍대 '에이케이앤(AK&)' 4층에 있는 플라워 홍대는 300평 규모로 운영 중이며 꽃을 테마로 한 자연의 순환을 표현한 미디어아트 상설전시관 입니다. 총 8개의 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터랙티브 아트를 통해 시각, 후각, 청각 등 오감으로 자연의 신비로움과 아름다움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서울스카이의 'A Day Trip To SEOUL SKY'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전망대 '서울스카이' 에서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전시인 'A Day Trip To SEOUL SKY' 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전시는 단순히 감상하는 것을 넘어 체험형 전시로 이동 동선을 따라 구성한 전시 공간을 하나씩 체험하며 다른 나의 모습을 발견하고 구름 속 숨겨진 빛을 찾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특히 'SLICK Ai-Me' 포토부스에서는 자신의 모습을 본 뜬 캐릭터를 생성하고 'Wonder Sky Mirror' 에서는 서울의 전경을 배경으로 자신의 AI 캐릭터와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Walkway to Cloud' 에서는 자신만의 구름 컬러를 만들어 구름 위를 걷는 경험을 할수 있습니다.

 

간송미술관의 '구름이 걷히니 달이 비치고 바람 부니 별이 빛난다' 

DDP에서 열린 이 전시는 간송컬렉션의 주요 작품인 훈민정음해례본, 혜원전신첩, 해악전신첩, 등을 활용한 이머시브 &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전시입니다. 해외 혹은 현대 작품으로 구성된 미디어아트 전시가 흔한 가운데 우리 문화유산을 재해석한 점이 특별합니다. 

 

팀랩의 'temLab: LIFE'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렸던 전시는 관람객의 참여로 작품이 완성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걸음과 손짓에 따라 꽃이 피고 지거나 나비가 태어나고 폭포가 튀며 물결이 넘실대는 등 모든 작품이 관람객의 움직임에 반응합니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반영 함으로써 관객과 작품이 소통하는 인터랙티브 전시를 경험할수 있습니다. 

 

국립경주박물관의 신라역사관 VR 체험관 

국내 박물관 중에서는 국립경주박물관의 신라역사관 VR 체험관이 주목할 만합니다. 

이 체험관은 관람객에게 고대 신라 유적지를 사실적으로 재현하며 높은 몰입감을 제공하여 감각적 및 미적 체험 요소에서 

우수한 성과를 나타냈습니다. 

 

이러한 인터랙티브 전시와 디지털 키오스크는 관람객들에게 풍부한 정보와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하고 있으며 

장애인, 노약자, 외국인 등 관람객들의 호응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