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SL이란?
WSL은 Windows Subsystem for Linux의 줄임말로,
쉽게 말하면 윈도우 안에 리눅스를 설치해서 쓸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에요.
Windows에서 리눅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
- bash를 Windows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해줌
- 그래서 curl, apt, bash 명령어도 다 가능해짐
- 개발자들이 윈도우에서 리눅스 개발 환경 쓰고 싶을 때 필수!
WSL이 뭔지 간단히 설명하면:
항목설명
무엇인가요? | 윈도우 안에서 리눅스(Ubuntu 등)를 돌릴 수 있는 환경 |
왜 쓰나요? | 리눅스에서만 되는 개발 도구나 명령어들을 쓸 수 있어서 |
어떻게 생겼나요? | 별도 창으로 뜨는 "Ubuntu" 터미널 (bash 쉘 기반) |
예시 | curl, bash, apt, bun, npm, node, python 등 자유롭게 사용 가능 |
설치 방법 | wsl --install 한 줄이면 끝! |
설치 방법 요약 (Windows 10/11 기준)
- PowerShell(관리자 권한) 열기
- 아래 명령어 실행:
-
wsl --install
- 재부팅 후, Ubuntu 설치됨 (리눅스 배포판)
- Ubuntu 실행 → 리눅스 터미널 환경 사용 가능!
왜 개발자들이 WSL을 쓸까?
- 리눅스는 서버나 개발 환경에서 많이 쓰여요
- npm, bun, docker, python, gcc 같은 도구는 리눅스가 더 편해요
- 윈도우만 쓸 때보다 훨씬 유연하고 호환성도 좋아요
② Ubuntu (Bash 쉘) 실행
설치가 완료되면 "Ubuntu" 앱이 생기고, 실행하면 Bash 쉘이 열려요.
왜 WSL이 필요할까?
윈도우의 기본 CMD나 PowerShell에서는
- bash, apt, bun.sh 설치 스크립트 같은 리눅스 명령어들 안 됨
- 일부 개발 도구나 패키지 매니저는 리눅스 기반이 훨씬 편함
그래서:
- bun, nvm, apt, curl | bash 같은 명령어들을 쓰려면 WSL이 거의 필수입니다.
WSL 설치 후 할 수 있는 것들
- bun, npm, node, python, docker, git, curl, wget 등 자유롭게 사용
- 리눅스 기반 개발 환경 그대로 이용
- GUI 앱은 아니지만, VS Code랑도 연동 잘 돼요 (Remote WSL 기능)
보너스 팁
설치 후 WSL 터미널에서 바로:
curl -fsSL https://bun.sh/install | bash
으로 bun 설치하면 끝입니다.
Git Bash에서도 bun 사용 가능할까?
Git Bash에서도 bun 사용 가능합니다.
하지만 약간의 제한 사항이 있으니 아래에 확실하게 정리해드릴게요.
Git Bash에서 bun 사용 가능한가?
항목가능 여부
curl, bash 등 쉘 명령어 | 가능 |
bun 설치 (bash 설치 스크립트) | 가능 |
bun 실행 (기본적인 명령) | 대부분 가능 |
리눅스 종속 기능 (예: apt, 일부 네이티브 패키지) | 안 됨 |
한 줄 요약
Git Bash는 리눅스 느낌만 나는 윈도우용 쉘이에요.
그래서 대부분의 bun 기능은 잘 작동하지만,
완전한 리눅스 환경은 아기 때문에 일부 기능은 제한될 수 있습니다.
bun이 잘 안 될 수도 있는 경우?
Git Bash는 내부적으로 윈도우 환경을 씌운 bash이기 때문에,
- bun이 설치되어도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기능 중 일부가 제한될 수 있어요
- 예: 파일 경로 문제, 네이티브 모듈, 특정 빌드 기능 등
bun을 완전히 활용하고 싶다면?
WSL(리눅스) 환경이나
Windows용 bun 설치 스크립트 사용이 가장 안정적입니다:
iwr https://bun.sh/install-windows.ps1 -useb | iex
이건 PowerShell에서도 잘 돌아가고, CLine에서 연결도 쉬워요.
체크포인트
명령어성공하면?
bun --version | 설치 OK |
bun create react ./my-app | 프로젝트 생성 OK |
bun install | 의존성 설치 OK |
curl, bun, npm, bash, wsl… 용어가 다 다르고 생소하죠.
그래서 아주 쉽게 설명드릴게요.
개념 정리: curl, bun, npm, bash, wsl
curl이란?
인터넷에서 파일이나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때 쓰는 명령어
- 웹 주소에서 무언가를 받아올 수 있어요.
- 예: 설치 스크립트를 다운로드할 때 자주 사용
curl https://bun.sh/install
이건 "bun의 설치 스크립트를 가져와줘!" 라는 의미예요.
bun이란?
JavaScript/TypeScript 프로젝트를 빠르게 실행하는 도구
(= npm, yarn, node를 대체할 수 있는 도구)
- 서버 실행, 패키지 설치, 테스트 등을 빠르게 처리함
- 속도 빠름! (그래서 요즘 뜨고 있어요)
bun install # 패키지 설치
bun dev # 개발 서버 실행
bun run start # 명령어 실행
npm이란?
Node.js용 패키지 관리자
(= 앱 만들 때 필요한 도구나 라이브러리를 설치하는 도구)
- 웹 프레임워크, 유틸, UI 등 전 세계 개발자들의 패키지를 다운받음
- bun도 이걸 일부 대체함
npm install express
bash란?
리눅스에서 쓰는 명령어 입력 환경(쉘)
- curl, bun, npm 같은 명령어들을 입력할 수 있는 터미널 종류
- Windows의 cmd, PowerShell보다 훨씬 자유롭고 강력함
bun vs npm vs yarn 각각 뭐가 달라?
도구기능특징
npm | 패키지 설치, 실행 | Node.js 기본 도구 |
yarn | npm보다 빠르게 패키지 설치 | Facebook이 만듦 |
bun | 패키지 관리 + 서버 실행 + 빌드까지 올인원 | 매우 빠름 (요즘 인기!) |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색인 대량 등록, 구글 서치 콘솔 Indexing API 완벽 가이드 및 프로그램 무료 나눔! (2) | 2025.04.18 |
---|---|
챗GPT - 지브리 사진 변환 무료 가능! (4) | 2025.04.10 |
인터랙티브 전시와 디지털 키오스크 전시와 국내 전시들 (0) | 2025.03.28 |
데이터 주석이란? (Data Annatation) (0) | 2025.03.11 |
AI와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개념부터 활용까지 총정리 (0) | 2025.03.10 |